본문 바로가기

보물창고

니트족, 캥거루족, 프리터족,유턴족...... 나는 무슨 족?

니트족, 캥거루족, 프리터족,유턴족...... 나는 무슨 족?

 

통계청과 한국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15~34세 사이의 청년층 가운데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무작정 쉬고 있는 사람이 43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사진출처-아시아 경제>

 

이들은 일을 하지도 않고, 일할 의지도 없어 교육이나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것으로 무위도식(無爲徒食) ‘니트(NEETㆍNot in Education, Employment, Training)족’이라고 칭한다.

국내 니트족은 2004년 33만 명, 2005년 38만5천명, 2006년 39만1천명, 2007년 39만7천명, 2008년 39만9천명으로 나타났으며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15~34세 인구는 2004년 1534만 명에서 지난해 1419만 명으로 115만 명(7.5%) 감소한 반면, 무위도식 청년층은 같은 기간 33만 명에서 43만 명으로 10만 명(30.3%) 증가한 것이라 한다.

 

<그림출처- 파이낸셜뉴스>

 

이 외에도 우리나라의 사회상을 반영해 젊은이들을 일컫는 말이 많다.

 

니트(NEETㆍNot in Education, Employment, Training)족:일을 하지도 않고 일할 의지도 없어 교육이나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 무직자

프리터족:정규직으로 일할 기회가 있는데도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들. 최소한 필요한 만큼만 스스로 벌고, 편하게 살겠다는 아르바이트 족을 일컫는 것으로 연소득이 정규직의 4분의 1수준이다.

캥거루족:부모에게 기대 사는 젊은이들로 취직할 나이가 됐는데도 직장을 구하지 않거나 직장에 다니면서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젊은이. 이들은 어쩔 수 없이 부모에게 의존하는 게 아니라 일자리를 구하지 않으면서 부모에게 빌붙어 사는 이를 일컫는 말로 2004년 등장한 신조어. 비슷한 말로 미국에선 이도 저도 아닌 중간에 낀 세대(betwixt and between)라 하여 트윅스터(twixter)라고 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어머니가 해주는 음식에 집착하는 사람을 일컫는 맘모네(mammone), 영국에서는 부모의 퇴직연금을 축내는 키퍼스(kippers), 캐나다에서는 직장 없이 이리저리 떠돌다 집으로 돌아와 생활하는 부메랑 키즈(boomerang kids)라고 한다.

공시족(公試族) 또는 고시족:공무원 시험과 고시에 매달리는 이들. 이에 고시촌과 공시촌(공무원 시험학원 밀집지역)이란 말도 있다.

 

<사진출처- 시사저널>

 

유턴족:사회생활을 하다 학교로 돌아오는 사람들.

메뚜기족:취직과 퇴직을 번갈아가면서 계속하는 사람들.

그 외에도 '대학 둥지족''올드보이'등은 졸업을 늦춘 채 구직활동을 하는 대학 5년생이나 뚜렷한 이유 없이 대학원을 단지 도피처로 삼아 구직을 미루는 젊은 층을 이르는 말도 있다. 또 취업 후에도 학원에 다니며 자신의 스펙을 쌓아 이직을 위해 전전긍긍하는 샐러리맨과 스튜던트를 합친 샐튜던트란 말도 있다.

이 모든 것이 취업이 힘들고, 팍팍한 요즘 젊은층의 삶은 반영하는 것 같다.

 

 

이는 세계적인 현상?

 

<영국의 니트족의 모습 사진출처- 뉴스칸>

 

니트족은 1990년대 초에 영국에서 처음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경기 침체와 높은 실업률은 졸업하고 사회로 뛰어드는 그 때 영국인 청년들에게는 가혹한 시기였다. 그 이후 일본의 긴 경기침체로 2008년 일본도 니트족 수를 64만명으로 추산되었다.

 

하지만 일본형 니트족과 한국형 니트족은 성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형 니트족의 경우 은둔형과 자신감 상실형이 대다수라고 한다.

일본의 문화는 고생을 모르고 부모 밑에서 누렸던 젊은이들에게 가혹한 개성을 요구하고, 높은 취업선을 제시했다. 그로 인해 실업자가 급속히 치솟았으며 그로 인해 일본 청년들에게 니트의 상황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취업을 하지 못한 젊은이들은 좌절하기 시작했고, 이에 대인관계까지 거부해 오타쿠 등 은둔형 외톨이를 많이 나았다.

한국형 니트족은 스스로 구직 의사를 처음부터 포기한 것보다 일자리가 부족한 탓에 취업 경쟁에서 낙오된 사례가 더 많다. 즉, 한국은 자기 상실로 이어지는 일본의 경우와 다르게 명목은 취업을 준비한다고 핑계를 대며 일을 하지도 않는 비 경제형이 많다는 것이다. 한국은 고시 국가이기도 하다. 매년 9급 공무원의 경쟁률을 100대 1은 기본이다. 고시 준비생과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 함정형 니트족으로 분류되며 비경제 활동 인구이지만 실업률에는 포함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올해 총 1천7백19명을 선발하는 9급 공무원 공채 시험에는 10만 명이 넘는 인원이 응시했다고 한다. 최대 고시원 밀집 지역인 서울 관악구 대학동과 신림동에는 4만명 가량의 고시생이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은 2013년 사법고시의 폐지와 함께 실업자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들은 한 길을 파고 있지만 그 마저도 확신이 없고, 다른 길은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이다.

 

니트족이든 캥거루족이든 아르바이트만하는 프리터 족이든 사회적으로 일종의 유휴 인력인 셈이다.즉, 생산 가능 인구의 중심 연령대가 이런 상태에 오랫동안 머무르면 국가 경쟁력 손실이 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업자 통계의 경우 최근 4개월간 구직활동을 한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실업률을 조사하기 때문에 아예 구직활동을 하지 않거나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경우는 ‘실업’으로 보지 않고 누락시킨다. 말하자면 캥거루족이나 고시족과 니트족은 아예 통계에 잡히지도 않는다는 얘기다. 이에 이들에 대한 대책도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고학력자이기에 경제적 손실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이에 노동 시장에서 완전히 이탈한 니트족들은 급변하는 산업 사회의 피해자나 부적응자로 파악해야 한다.


[출처 : 국민권인위원회 공식블로그 국민권익 / http://blog.daum.net/loveacrc/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