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물창고

564돌 한글날, 알쏭달쏭 한글 상식 정리해봤어요

10월 9일은 '564돌'을 맞는 '한글날'입니다. 세계에서 그 우수성을 입증받는 우리의 고유 문자 '한글'이 탄생한 날인데요. 한글날을 언제부터 기념하게 됐으며, 현재 국제사회에서 한글의 위상은 어느정도일까요? 564돌 한글날을 맞아 <정책공감>이 한글날과 한글에 대한 상식을 정리해 봤어요~

 1. 한글날이 10월 9일로 확정된 시기는?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연구, 보급을 장려하기 위하려 정한 날입니다. 한글날 제정 추진을 시작한 해인 1926년 11월 4일(음력9월 29일), 세종 실록에 이 날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날로 기록되어 있어, 조선어학회에서 이 날을 제1회 ‘가갸날’로 정했는데요. 이듬해인 1927년 명칭을 한글날로 고치고 계속 음력으로 기록하다가 1940년 7월 양력으로 바꿔 10월 9일을 한글날로 확정하였습니다. 1970년 공휴일로 정하였으나 1990년 법정공휴일에서 제외, 기념일로 바뀌었고, 2006년에는 국경일로 지정되었습니다. 

 
2. ‘훈민정음’을 ‘한글’로 부르게 된 것은 언제부터?
'한글'은 세종이 28자를 반포할 당시 '훈민정음'이라 불렀습니다. 그런데 양반 식자층에서는 이 훈민정음을 천대하여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 암클, 아랫글이라고 했으며, 한편에서는 가갸글, 국서, 국문, 조선글 등의 이름으로 불리면서 근대에까지 이르렀죠.

그러나 개화기에 접어들어, 언문이라는 이름은 ‘상말을 적는 상스러운 글자’라는 뜻이 담긴 사대주의에서 나온 이름이라 하여, 주시경 선생이 1913년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고쳐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한글’이라는 이름의 뜻은 ‘한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으뜸가는 글’ 등으로 풀이됩니다.

 3. 남한과 북한의 한글날은 같을까 다를까?
현재의 한글날인 10월 9일은 세종 28년인 1446년 훈민정음이 반포된 날을 기준으로 한 것인데요. 그러나 북한은 우리와는 달리 창제일을 기념해 1월15일을 한글날로 정하고 5~10년 주기로 기념행사를 열고 있습니다.

 4. 대한민국은 문자 창제를 기념하는 유일한 나라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한국어학과 로스 킹 교수에 따르면 세상에서 문자가 창제된 날을 국경일로 정해 기념하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또한 미국에서 2004년 출간된 ‘세계 문화 : 전 세계의 모자이크’라는 교과서에 따르면, “한국은 자기 문자를 국경일로 기념하고 있는 세계에서 유일한 국가이다. 한글날인 10월 9일은 한국의 위대한 지도자 세종대왕을 기념하는 날이다. 한글 사용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문해율이 높은 국가가 되게 했다”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2009년 한글날 경축식> 

  

5. 한글을 자국의 문자로 사용하는 해외 나라는 어디?
한글을 자국의 문자 중 일부로 사용하는 나라는 지금까지 총 5개 국가로, 태국, 동티모르, 중국, 네팔, 인도네시아입니다.


태국은 2003년부터 라후(LAhu)족이 한글을 표기하기 시작했고, 동티모르는 2004년부터 떼뚬어를 한글로 표기하기로 했죠. 중국은 2002년 로바족과 2008년 웡키족이 한글 표기를 시도했으며, 헤이룽장 유역의 오로첸족은 2004년부터 한글 표기를 시도중입니다. 네팔에선 체팡족이 한글 표기를 시도했으며, 인도네시아에선 윌리오족이 한자·아랍문자와 함께 자국의 언어를 한글로 표기하고 있다. 또 찌아찌아족은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 한글로 된 교과서를 개발·보급하고 있습니다. 

6. 한글 최초로 띄어쓰기를 한 문헌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띄어쓰기를 공식적으로 규정한 것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말 띄어쓰기를 시작한 것은 한 외국인에 의해서였는데요. 1877년 존 로스가 지은 <Corean Primer 조선어 첫걸음> 인데요. 이 책은 서양인에 의해 최초로 가로쓰기를 한 책이면서 동시에 띄어쓰기를 한 책이죠. 반면 우리나라 최초로 띄어쓰기를 한 문헌은 <독립신문> 입니다.


7. 전세계 한국어 사용자수는?

2010년 9월, 한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발간된 ‘숫자로 살펴보는 우리말’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 수는 '7,700만여 명'이며, 전 세계 언어 중 모어 사용자 수에 따른 한국어의 순위는 13위라고 합니다.  

또한 작년 아시아권 한국어 능력 시험에는 12만 명이 응시했으며, 그 중 합격자수는 9만 명이며,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국어 능력 검정 시험 응시자 수 15만여 명에 달합니다.  

8. '오픈마켓'의 우리말은?
적절하지 못한 외래어, 비속어 등을 네티즌 투표를 통해 ‘우리말’로 바꿔주는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 ‘말터(www.malteo.net)’ 누리집에서 최근 ‘인터넷에서 판매자와 구매자를 직접 연결하여 자유롭게 물건을 사고 팔 수 있는 곳’을 이르는 ‘오픈마켓(Open Market)’의 다듬은 말로 ‘열린장터’를 최종 선정하였습니다.